분류 전체보기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일반화학실험 I 8. 산화-환원 적정 : 과망간산법 1. 실험 제목 : 산화-환원 적정:과망간산법 2. 실험 날짜 : 2015.05.19. 3. 실험 목적 : 과망간산 칼륨과 과산화수소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서 과산화수소 수용액의 순도를 결정한다. 4. 이론 산화-환원 반응은 산-염기의 중화 반응과 마찬가지로 우리 주변에서 많이 일어나고 있는 매우 중요한 반응이다. 화합물은 양전하를 가진 원자핵들 주위에 음전하를 가진 전자가 구름처럼 분포하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화합물을 둘러싸고 있는 전자는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서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종류의 화합물들이 서로 가까이 다가오게 되면 한 화합물로부터 다른 화합물로 전자가 옮겨가는 화학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이처럼 화합물 .. 전자회로실험 2. 전파정류회로 및 캐패시터 필터회로 실험 결과 1. 실험 개요 다이오드의 응용회로인 전파정류회로와 캐패시터 필터회로의 동작원리와 출력파형을 실험적으로 확인한다. 2. 실험 원리 전파정류기와 캐패시터 필터 앞장에서 기술한 반파정류기는 극히 제한적인 상황에 응용되며, 직류전원을 얻기위한 하나의 단계로서 주로 전파정류기(Full-wave Rectifier)가 사용된다. 전파정류기에는 중간 탭(Center-tapped) 방식과 브리지(Bridge) 방식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1) 중간 탭 전파정류기 중간 탭 방식은 변압기의 2차측에 중간 탭(Center Tap; CT)을 달아 2개의 다이오드를 연결하여 그림 2-1과 같이 구성한다. - 양의 반주기 동작 그림 2-2에서처럼 변압기 1차측 전원의 양의 반주기 동안 D1은 순방향으로 D2는 역방향으로 .. 전자회로실험 1. 다이오드 특성 및 반파정류회로 실험 결과 1. 실험 개요 다이오드의 전압과 전류 특성을 실험적으로 구하고, 다이오드 응용회로인 반파정류회로의 동작원리와 출력파형을 관찰하고 측정한다. 2. 실험 원리 1) 다이오드 전압-전류 특성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켜 각 반도체 영역에 금속성 접촉과 리드선이 연결된 소자이며,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를 흘릴 수 있고 다른 방향으로는 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다이오드의 전압-전류 특성을 크게 순방향 바이어스와 역방향 바이어스로 나눌 수 있다. 순방향 바이어스는 다이오드의 양극(A)이 음극(K)보다 높은 전위를 가지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말하며 특성 곡선을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VF가 0.7V 이상일 때 IF는 급속히 증가한다. 즉 전류가 잘 흐르게 된다. 역방향 바이어스는 다이오.. 일반화학실험 I 6. 생활속의 산염기 분석 1. 실험 제목 : 생활 속의 산-염기 분석 2. 실험 날짜 : 2015.05.19. 3. 실험 목적 :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을 이용해서 산이나 염기의 농도를 측정한다. 4. 이론 과일 주수를 적절히 발효시키면 알코올이 만들어지지만 충분히 발효시키면 톡 쏘는 신맛을 내는 식초가 만들어진다. 아세트산(일명 초산, CH3COOH)이라는 “산”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와는 달리 수산화 나트륨(일명 양잿물, NaOH)처럼 미끌거리며 쓴맛 느낌을 주는 “염기”라고 부르는 화합물도 있다. 이러한 산과 염기는 우리 주변에서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으면서 일상 생활과 우리 몸속의 화학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브뢴스테드-로우리의 산-염기 이론에 따르면 수소 이온(H+혹은 H3O+)을 내놓을 .. 일반화학실험 I 5. 용해도 & 재결정 1. 실험제목 : 재결정 2. 실험날짜 : 2015. 05. 12 3. 실험목적 : 산-염기 성질을 이용해서 용해도가 비슷한 두 물질을 분리하고 정제한다. 4. 이론 : 자연에서 분리되거나 실험으로 합성된 물질에는 대부분의 경우에 원하지 않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런 혼합물에서 원하는 물질을 순수한 상태로 분리시키는 것은 화학실험에서 아주 중요한 과정이다. 고체의 경우에 원하는 물질과 불순물의 용해도가 상당히 다르면 적당히 따듯한 용매에 혼합물을 녹인 다음에 순수한 물질을 재결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추출(실험7), 크로마토그래피(실험8), 그리고 액체 혼합물의 경우에 사용하는 종류(실험9)도 많이 사용되는 분리 방법이다. 재결정은 온도에 따라 용해도가 다른 점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대부분.. 일반화학실험 I 4. 기체상수 측정 1. 실험제목 : 기체 상수 결정 2. 실험날짜 : 2015. 04. 07 3. 실험목적 : 일정한 양의 산소나 이산화탄소 기체를 발생시켜 기체상수 값을 결정한다. 4. 이론 : 기체의 양과 온도, 부피, 압력 사이의 관계는 기체 상태 방정식으로 주어진다. 대부분의 기체는 온도가 충분히 높고, 압력이 충분히 낮은 상태에서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pV=nRT)을 잘 만족한다.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에서 R은 “기체 상수”라고 하는 기본 상수이다. 이 실험에서는 산소 또는 이산화탄소 기체의 압력(P), 부피(V), 몰수(n)와 온도(T)를 측정하여 기체 상수를 결정한다. KClO2를 가열하면 산소 기체가 발생하고 KCl 고체가 남게 된다. MnO2는 KClO2의 분해 반응에 촉매로 작용하여 산소 발생 속.. 일반화학실험 I 3. 몰질량 측정 1. 실험제목 : 몰질량 측정(Molar Mass Determinationg) 2. 실험날짜 : 2015 03 31 3. 실험목적 :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해서 쉽게 증발하는 기체의 몰질량을 결정한다. 4. 이론 : 원자나 분자는 매우 작은 입자이기 때문에 질량을 직접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래서 원자나 분자의 질량을 나타내기 위해서 상대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즉, 질량수 12인 탄소의 원자 몰질량을 12라고 정의하고, 이 동위원소 12g에 들어있는 탄소 원자의 수를 아보가드로 수(6.022 X 10^23)라고 하며, 아보가드로 수만큼의 원자 또는 분자를 1몰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분자의 몰질량도 1몰에 해당하는 분자의 질량을 탄소 원자 1몰의 질량과 비교하여 결정한다. 분자의 몰질량을 .. 일반화학실험 I 2.아보가드로 수의 결정 1. 실험제목 : 아보가드로 수의 결정 2. 실험날짜 : 2015.3.24. 3. 실험목적(목표) : 몰 위에 생기는 기름막을 이용하여 물의 단위인 아보가드로 수를 결정한다. 4. 이론 질량수가 12인 탄소 12g에 들어있는 탄소 원자의 수를 아보가드로 수(Avogadro's number, NA= 6.022 X 10^23) 라고 하며, 아보가드로 수 만큼에 해당하는 원자나 분자를 1몰(mole)이라고 한다. 이것은 마치 달걀 30개를 1판이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다만 원자나 분자는 그 크기와 질량이 매우 작기 때문에 아보가드로 수가 대단히 클 뿐이다. 아보가드로 수는 탄소 원자 1몰이 차지하는 부피(Vm)와 탄소 원자 하나가 차지하는 부피(Vl)를 알면 아래 식을 이용해서 얻을 수 있.. 이전 1 2 다음